본문 바로가기

나도 모르는 통신요금? - 명의 도용 휴대폰요금 통신민원조정센터에서 구제받자

Proh1 2025. 4. 17.
반응형

"명의도용으로 개통된 휴대폰? 통신민원조정센터를 통해 구제받는 방법"

나도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 왜 자꾸 이런 일이 생길까?

나도 모르는 통신요금
나도 모르는 통신요금

최근 몇 년 사이, 명의도용으로 인한 통신서비스 피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고거래, 단기알바, 보이스피싱 등을 통해 신분증, 통장사본 등을 탈취당한 후 본인도 모르는 사이 휴대폰이 개통되고 요금이 부과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 6월까지 이동통신 3사에 접수된 명의도용 신고 건수총 16,903건, 피해액은 약 54억 원에 달합니다. 하지만 실제 보상까지 이어진 경우는 약 25%에 불과해 대다수 피해자들이 구제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케이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용하지 않은 모르는 번호로 개통된 휴대폰
    내 명의로 개통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한 적도, 개통한 적도 없는 번호
  • 내가 거주하지 않은 지역의 인터넷/방송 요금 청구 
    지역 케이블 방송, 인터넷 요금, IPTV(SkytLife, U+TV, SK 브로드밴드 등)의 미납 요금이 청구됨
  • 신용정보회사로부터 채무 등록 사전 통지서 수신
     현재 미납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신용정보회사가 채권을 인수하거나 위임받아 연체 사실을 등록하겠다는 안내를 받는 경우

이때 통신사나 방송서비스사에 문의하면 “채권이 이미 외부 추심사로 넘어가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고 답변하고, 추심업체에 문의하면 “통신사나 방송사에서 위임한 건이기 때문에 자신들은 단순히 추심만 한다”고 하며 서로 책임을 회피하는 상황이 반복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소비자가 명확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뺑뺑이만 도는 상황은 매우 빈번하며, 이러한 문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통신민원조정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의도용 통신피해, 이렇게 대응하세요

1. 통신사에 즉시 신고

  • 고객센터나 가까운 지점 방문
  • 본인 명의로 개통된 계약서, 요금 내역 확인 요청
  • 명의도용 신고서 작성 및 정지 신청

2. 경찰에 명의도용 신고 접수

  • 피해 사실에 대한 진술서 및 증빙자료 지참
  • 신분증 도용 경로, 피해 금액, 관련 계약서 등 증빙

3. 통신민원조정센터 조정 신청

  • 통신사로부터 명의도용 인정을 받지 못했거나, 피해 구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용 가능
  • 접수 방법: Msafer 홈페이지 → 통신민원조정센터 → 조정 신청
  • 비용: 무료
  • 소요 기간: 1차 조정 약 15일, 이의제기 시 2차 조정으로 연장 가능

통신민원조정센터에서는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통신민원조정센터는 2023년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한 통신 분야 전문 분쟁조정기구로, 명의도용 통신피해자들이 소송 없이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조정안 마련: 사실관계 조사 후 조정안을 통해 환불 또는 계약 취소를 유도
  • 이의신청 절차: 통신사나 민원인이 조정안에 불복할 경우 전문가 위원회가 재조정
  • 조정 성립 시 구속력 있음: 민사소송 없이 해결 가능

실제 피해 구제 사례

📍사례 1. 판매점 직원에 의한 명의도용
A씨는 휴대폰 개통 당시 제출한 주민등록증이 도용되어 추가 회선이 개통됐습니다. 통신사에선 이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통신민원조정센터 조정을 통해 계약 해지 및 부과 요금 전액 환불을 받았습니다.

📍사례 2. 비대면 알바 계약을 통한 개통 피해
B씨는 온라인 아르바이트 지원 과정에서 제출한 신분증 사본이 유출되어 휴대폰이 개통된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습니다. 경찰 신고 및 통신민원조정센터 조정을 통해 피해 금액 전액 환불.


예방이 최선! 명의도용 방지 TIP

  • Msafer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실시간 개통 알림, 명의 개통 제한 설정 가능
  • 소액결제 차단 설정 (통신사 고객센터 문의)
  • 개인정보 공유 자제, 특히 신분증/통장 사본 등은 신뢰할 수 있는 곳에만 제출
  • 가입현황 정기 확인: 가족 명의로 개통된 회선도 함께 확인 가능

정리하며

명의도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문제입니다. 한 번의 확인과 조기대응으로 수백만 원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피해를 입었다면 꼭 통신민원조정센터를 통해 조정 신청을 고려해보세요.


[Msafer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엠세이퍼 홈페이지 사진
Msafer 홈페이지

[Msafer - 통신민원조정센터 바로가기]

 

Msafer 명의도용방지서비스

명의도용 신고요령 명의도용 신고는 명의자 본인의 신분증 확인 및 서명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까운 통신사 지점 방문 후 도용 당한 본인이 직접 신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만약 명의도용신

www.msafer.or.kr

 

반응형

댓글